인터뷰

작성자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작성일
2025.02.06
조회수
221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상용화 촉진지원 사업’의 조기성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들을 만나 지원 혜택 및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들어보는 릴레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기성과 (Early Harvest) 프로그램 :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혁신 비즈니스 발굴 및 사업화 진출을 위한 비즈니스 실증 지원사업

  

네 번째로, 의료분야의 마케팅·컨설팅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한 넥스브이의 송환구 연구소장님을 만나보았습니다.


 

 

Q. 넥스브이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A. 
넥스브이는 헬스케어 인공지능 자연어 처리 분야의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을 연구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의료기관용 '닥터 챗봇'을 개발했고, 이를 확장해서 사람의 감정을 모니터링하고 인공지능과 공감대화를 통해서 정신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 기기를 연구 중에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서 고민 상담이나 심리 상담을 하는 키오스크 '위로미'를 개발했습니다.

 
Q. (2024년) 조기성과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요?

A. 
정부 과제를 통해서 정신 건강 디지털 치료 기기를 연구 개발하였고 이를 응용한 고민 상담 키오스크를 제작했습니다납품처를 찾지 못해서 고민하던 찰나에 우연히 조기 성과 프로그램을 접하게 됐습니다. 저희 위로미를 전시회에서 선보인 적은 있는데 실제 도입 사례가 없어서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들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조기 성과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어 굉장히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해서 참여하게 됐습니다.


 

Q. 조기성과 프로그램에 참여해 어떠한 지원을 받았는지 말씀해주세요.
A. 
과학관, 특별 전시관에서 제품을 실제로 시민들이 실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동시에 부족했던 마케팅과 홍보 부분에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프로그램을 통해서 홈페이지와 브로슈어도 새롭게 제작하게 되었고, 온라인 마케팅도 진행을 하면서 제품 판매 채널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Q. 조기성과 프로그램을 통한 주요 성과가 있다면 설명해 주세요.

A.
아무래도 가장 큰 성과로는 보건소나 시청, 학교 청소년 센터에 실제 판매가 이루어지는 등 성공적으로 납품이 되었다는 점입니다. 또한 위로미가 알려지면서 YTN 뉴스에 방영이 되었고 다큐멘터리로도 소개가 됐습니다. 이후 관공서나 기업에서 단기 렌탈이나 홍보용으로도 많이 문의를 주셔서 작년 하반기에는 덕분에 특히 바쁜 한 해를 지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Q. 조기성과 프로그램 참여 이후 좋은 소식이 많았는데 자세히 말씀 부탁드립니다.
A.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실증이 메인인 사업인 만큼 다른 지원 사업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청소년 심리 상담 기기 테스트 사업에 선정되기도 하고, 육군 인공지능 아이디어 대회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Q. 올해 조기성과 프로그램 사업에 참여할 기업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
A. 기업 입장에서는 오랫동안 힘들게 연구 개발한 제품을 실제로 검증하고 거기에 필요한 지원까지 받을 수 있는 소중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증 기회가 필요한 그런 제품이 있다면 꼭 도전해 보시라고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Q. 협회에서 진행하는 다른 사업에도 참여할 의사가 있으신가요? (매칭데이, 기업 간담회, 세미나 등)
A. 저희가 작년 디지털 헬스 수요·공급 매칭데이와 전시회, 다양한 세미나 등에 참여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 기업이나 투자자들을 만나면서 많이 배우고 저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회사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들이 많아서 2025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입니다.





Q. 넥스브이의 향후 행보는 어떻게 될까요?
A.
현재 개발 중인 디지털 치료 기기를 업그레이드하면서 임상과 인허가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웰니스 제품인 위로미 역시 텍스트 분석을 넘어서 안면 인식, 음성 맥박 등 생체 신호까지 분석해서 더욱 깊이 있는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